노니는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과일로 칼슘, 비타민 등 약 14여 가지의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그뿐만아니라 200여 종의 피토케미컬이 풍부해 항노화 효과가 탁월합니다. 동의보감에 노니의 뿌리는 '땅을 파고 하늘까지 솟구치게 한다'는 뜻의 파극천, '바다까지 기운을 솟구치게 한다'는 해파극이라 하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기력증진과 원기 회복에 탁월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식물 속에는 각종 미생물, 해충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피토케미컬 성분이 여러가지 기능을 하는데 노니 속의 화학물질은 체내에서 항산화 물질로 변환하여 세포손상을 억제합니다. 또한 노니의 스코폴레틴 성분은 체내 염증 배출에 탁월하여 혈관 벽을 확장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노니는 과일 표면에 여러 송이의 꽃을 피우..
TV '내 몸 사용 설명서'에서 위 건강에 좋은 김에 대한 소개가 있었습니다. 김은 위장 잠복염증을 발멸하는 특급 항염증 식품으로서 김을 제대로 섭취할 수 있는 김 활용법과 효능을 알아봅니다. 김 효능 1. 항암효과 김의 항염증 성분인 포피란 성분은 장의 활동을 원할하게 하여 유동성분이 장내에 머무는 시간을 줄여 대장암 발병률을 낮추고 위 점막의 부종과 출혈 등의 손상을 막아 위암 발병률을 낮추어 줍니다. 또한 푸코이단, 알긴산 성분은 암세포으 자연적인 세포 사멸을 유도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2. 골다공증 예방 김의 칼슘성분은 뼈를 튼튼하게 하며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이며 성장기 어린이들의 키성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3. 숙취해소, 치매예방 김의 타우린 성분은 간 대사를 활발하게..
혈관수리공이라는 별명을 지닌 비트는 단 7일 만에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릴 정도의 막강 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하는데 혈관건강과 함께 면역력관리에 도움되는 비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공채, 홍채두라고도 하는 비트는 파프리카, 브로콜리, 샐러리와 함께 서양을 대표하는 채소 중 하나로 비교적 기르기가 쉽고 채소 전체를 식용할 수 있어 가정내에서도 많이 재배합니다. 땅 속의 붉은 피로 불리는 뿌리채소 비트는 따뜻한 기후에서 잘자라는데 우리나라 제주도는 작물이 얼지않아 1년 내내 재배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합니다. 비트 효능 1.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개선 비트의 베타인 성분은 혈전이 쌓이는 것을 억제하고 간기능 개선 및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비트뿌리의 질산염 성분은 산화질소가..
파프리카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열대지역으로 관목상태로 생육되는데 가지과의 고추속,고추종에 속하고 매운고추와 단고추로 구별하는데 파프리카는 단고추에 속합니다. 독특하고 싱그러운 향과 단맛(당도 7~11)이 특징으로 매운맛이 나는 피망보다 크고 과육도 6~10mm로 두터우며, 무게도 약2.5배 정도 무겁습니다. 파프리카는 빨강, 노랑, 오렌지, 보라색, 녹색 등 다양한 색깔이 있는데 비타민 A, C, 철분 등 영양 성분이 다른 채소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 빈혈은 물론 각종 암예방에 좋으며 노화를 촉진시키는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리코펜이 풍부하여 노화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습니다. 특히 비타민C는 토마토의 5배, 레몬의 2배나 들어 있어 100g정도 되는 자그..
마카는 페루의 안데스 산맥이 원산인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입니다. 페루의 산삼이라도 불리는 마카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우주식품으로 선정하기도 했는데 최근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건강식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마카 효능 1.혈관 건강 마카에는 글루코시놀레이트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장내로 흡수되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이소시오사이네이트라는 성분으로 변합니다. 이소시오네이트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콜레스테롤이 혈관 안에서 산화되어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것을 예방해주기 때문에 고지혈증, 고혈압 등 각종 혈관성 질환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2. 항암효과 마카에 함유된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백혈구와 사이토카인을 조율해 유방, 대장, 간, 폐, 위, 식도 등에서 종양의 석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여..
링곤베리란 링곤베리는 국내보다 북유럽, 특히 핀란드에서 잘 알려진 웰빙식품으로 신생대 제4기 빙하기의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1만년 동안 살아남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대 청동기 덴마크 무덤에서는 링곤베리와인이 발견될 만큼 오랜시간 동안 핀란드인들의 생활 속에 녹아있던 식품입니다. 13세기에는 아이슬란드법으로 링곤베리 수확과 소비를 제한할 만큼 귀하게 여겼고, 17세기 스웨덴 여양에게 바쳐졌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리고 18세기 엘리자베스 여왕이 섭취하기도하여 '퀸즈베리'라고도 불렸습니다. 매 끼니마다 식탁에 올라오는 "북유럽의 빨간금"이라고 불리는 링곤베리는 100% 야생에서 자생하며, 인공적인 재배가 불가능한 식물입니다. 링곤베리는 기후 변화에 민감하며, 5~10년이 지나야 꽃이 피워 4~5년 만에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