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종류의 대나무 가운데서 우리나라에 가장 흔한 대나무인 조릿대는 암,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정신불안, 간염, 여드름, 습진, 알코올 중독, 기침, 위염, 위궤양 등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빼어나게 높습니다. 조릿대는 벼과의 늘푸른떨기나무로 높이 1~2m 정도이고 잎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앞면이 반질반질하고 뒷면은 흰빛이며 가장자리에 잔 모양의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5~6월에 자주색 꽃이삭이 2~3개 달리고, 열매는 6~7월에 맺힙니다. 새싹일때는 잎 전체가 녹색인데 겨울이 되면 테두리가 하얗게 변하고 한약명으로는 죽엽, 다른이름으로 산죽, 죽실, 죽미, 야맥이라고도 합니다. 동의보감에 조릿대는 달고 약간 찬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빈혈과 갈증을 없애주고 체액이 원활히 순환되도록 하고 기운..
담석에는 콜레스테롤이 굳어진 콜레스테롤 결석과 담즙의 색소성분이 굳어진 빌리루빈 결석, 그리고 두가지가 합쳐진 혼합결석이 있습니다. 담석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이 생기는 편이며 몸이 뚱뚱한 사람, 음식을 많이 먹는 사람, 동물성 기름기와 설탕을 많이 먹는 사람한테 많이 나타납니다. 담즙의 흐름에 탈이 났거나 담즙 성분의 균형이 깨어져 생기는 것으로 짐작하고 있을 뿐 아직 그 원인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몸 속에 돌이 생기는 부위는 쓸깨, 간, 콩팥, 방광, 요로 등 다양하게 생기는데 요로나 콩팥, 방광의 결석은 대개 오줌에 들어 있는 염류 성분이 오줌 속의 침전물에 달라붙어 생긴 것입니다. 오줌이 오랫동안 몸 안에 남아 있거나 세균감염, 요로에 이물질이 있을 때, 물질대사 이상 등이 원인이며 결석이 작을수..
요즘 햇생강이 제철이라 생강청을 만들어 볼까 합니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몸이 차가워지면 따뜻한 생강차가 몸을 덥히는데는 그만이죠. 중국에서는 2000년 전부터 생강을 치료목적으로 사용해 왔다고 하는데 본초학 서적인 '약징'이라는 책에 의하면 '건강이 주로 치료하는 것은 맺히고 폐색된 물의 독이다. 부수적으로 구토, 기침, 설사, 뻣뻣하게 차가워지는 것, 안절부절 못하는 것, 복통, 흉통, 요통이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생강을 말려서 쓰는 것으로 말린 생강이라는 의미로 건강(乾薑)이라고 부릅니다. 생강의 효능이 말렸다고 해서 달라지거나 하지는 않지만 생강을 말려보면 수분이 빠지기때문에 소량으로도 무척 많은 양에 해당됩니다. 생강은 우리 몸에 불필요한 수독을 없애주는 역할을 하는데 몸이 냉하고 ..
질병에 따라 식습관을 개선하기만 해도 질환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모든 음식은 우리 몸에서 소화과정을 거쳐 때로 약이 되기도 하고 독이 되기도 하지요. 질환에 따라 약이 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고혈압: 녹차, 곤약, 냉이, 호박씨, 메밀, 자두, 율무, 감자, 솔잎 등 녹차: 녹차 속의 타닌 성분이 지방을 분해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줍니다. 곤약: 구약나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줍니다. 냉이: 자율신경을 자극해 혈압을 강하시키고 성인병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호박씨: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해 혈액순환을 돕고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이 달라붙는 것을 예방해 고혈압 치료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메밀: 메밀의 루틴성분이 뇌출혈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감자: 나트륨의 배출로 고혈압의 예방..
카카오닙스란 무엇일까요? 카카오나무 열매 안에는 씨앗이 들어 있는데 이 씨앗을 카카오빈이라고 합니다. 카카오빈을 건조하고 발효시켜서 로스팅한후에 껍질을 없애준후 부숴준것이 카카오닙스입니다. 주 성분은 탄수화물과 단백질 등이 함유되어 있고 리니그린이라는 식이섬유의 함유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그리스어로 신들의 음식이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으며 아주 오래전 부터 건강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초코렛의 원료로도 사용되는 카카오는 15세기 경 이전까지 화폐대신 사용되었다고 하고, 마야문명 때는 신분이 높은 사람들만 먹을수 있었던 식품입니다. 그럼 최근에 핫 트렌드인 슈퍼 로푸드의 한 종류로 알려진 카카오닙스에 대하여 그 효능과 먹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닙스의 효능 카카오닙스는 혈액속 중성지방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