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우(穀雨),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본문
올해 4월 20일, 곡우 무렵 마시는 나무수액은 위장병 ·신경통에 특효!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로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는 곡우는 음력 3월 중순 경으로 올해는 양력 4월20일이다.
곡우의 의미는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된다.
그래서 '곡우에 비가 안 오면 논이 석자가 갈라진다', '곡우에 비가 오면 풍년 든다' 등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한다.
곡우가 되면 농사에 가장 중요한 볍씨를 담근다. 한편 볍씨를 담아두었던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둔다.
이때 초상집에 가거나 부정한 일을 당하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불을 놓아 그 위를 건너게 하여 악귀를 몰아낸 다음 집 안에 들이고, 집 안에 들어와서도 볍씨를 보지 않게 한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거나 만지게 되면 싹이 잘 트지 않아 그 해 농사를 망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곡우(穀雨) 무렵에는 나무에 상처를 내어 받은 수액(樹液)을 마시는 '곡우물마시기'라는 풍속이 있었다.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로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에서는 깊은 산이나 명산으로 곡우물을 마시러 간다.
주로 자작나무나 산다래 또는 박달나무에 칼로 흠을 내거나 가지를 휘어 늘어뜨리고 끝을 잘라 병 속에 꽂아두고 하룻밤을 지내면 병에 수액이 가득 고인다.
이 물을 곡우에 마시는 물이라 한다. 이 곡우물은 경칩 때 나는 고로쇠물보다 덜 달콤하고 텁텁한 맛이 나는데 위장병, 신경통, 당뇨, 이뇨, 관절염, 요통, 대하증에 좋으며 고부간의 갈등으로 생긴 속병도 곡우물을 먹으면 치료된다고 믿는다.
특히 신병이 있는 사람이 병을 고치기 위하여 그 물을 마시는데 외지 사람들에게 더 약이 된다고 한다.
또한 곡우 무렵에는 흑산도 근처에서 겨울을 보낸 조기가 북상해서 충남까지 올라오므로 서해에서 조기가 많이 잡힌다. 이때 잡힌 조기를 곡우사리라고 하는데, 이 조기는 아직 살은 적지만 연하고 맛이 있어 서해는 물론 남해의 어선들도 모여든다.
전남 영광에서는 한식사리, 입하사리 때보다 곡우사리 때에 잡히는 조기가 알이 많이 들어있고 맛이 좋다. 그래서 곡우사리 조기를 가장 으뜸으로 친다.
곡우(穀雨) 5일전 이른 봄에 딴 찻잎을 덖어서 만든 차를 우전(雨前) 이라고 한다. 가장 처음 딴 찻잎으로 만들었다고 하여 첫물차라고도 한다.
차는 따는 시기에 따라 곡우(穀雨) 무렵부터 입하(立夏)까지 새잎을 따서 만든 맏물(첫물)차와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에 딴 두물차 등이 있고, 차 잎의 여리고 굳음에 따라 세작 ·중작 ·대작으로 나뉘는데, 특히 맏물차 가운데서도 곡우 전에 따서 아홉 번 덖어 만든 우전차(雨前茶)는 최상의 명차로 꼽힌다.